티스토리 뷰

When alcohol first entered the English language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it denoted a kind of cosmetic, specifically an eye-liner once used in the Middle East by people such as Cleopatra and Nefertiti. Francis Bacon, for example, refers to the substance in his 1626 work of natural history called Sylva Sylvarum: "The Turkes," he writes, "have a Black Powder, made of Mineral called Alcohole; which with a fine long Pencil they lay under their Eye-lids." 

The powder in question was derived from an ore such as antimony, stibnite, or lead which in Arabic came to be known as called al kohl, meaning the black powder. Further back, Arabic aquired the word kohl from the Hebrew kakhal, meaning to stain or to paint. After the word was introduced to English, it continued to denote a cosmetic eye-powder for at least a century. It also, however, became the name of any powder which is produced by heating a substance into a vapor and then allowing it to cool back into a solid. By the mid seventeenth century the meaning of the word had extended further, as it came to denote any liquid that is produced via distillation; as a result, the phrase alcohol of wine began to appear at this time as a name for a distilled wine. By the mid eighteenth century this phrase was shortened to just alcohol, and was then applied to any spirit, whether it was distilled from wine, barley, or sugar cane.

In the 1890s, the word alcoholic came to denote a person addicted to alcohol, which promoted the slang from alkie in the early 1950s.

- Mark Morton의 Cupboard Love 중 -

17세기 초 Alocohol이라는 단어가 영어로 처음 들어왔을때 이는 일종의 화장품, 특히 중동의 클레오파트라와 네페르티티와 같은 사람들이 사용했던 아이라이너를 의미했다.

영국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의 실바 실바룸

일례로 프랜시스 베이컨은 1626년 실바 실바룸(Sylva Sylvarum)이라는 자연사 연구에서 이 물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눈꺼풀 아래에 길쭉하게 그리는 Alcohole이라 불리는 미네랄로 만든 검은 분말을 사용해라".

안티몬, 휘안석 또는 납과 같은 광석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 의문의 분말은 검은 분말을 뜻하는 아랍어 알콜(al kohl)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과거로 거슬러 아랍어 콜(kohl)은 얼룩 또는 그리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카칼(kakhal)에서 유래되었다.

 

이후 영어로도 이 단어가 도입된 뒤 적어도 한 세기동안은 eye-powder(눈에 바르는 분말)로 계속 불리우다 물질을 증기로 가열한 다음 다시 냉각시켜 고체로 만든 모든 분말을 총칭하는 의미로 변했다. 17세기 중반 이 단어의 의미는 더욱 확장되어 증류과정을 거친 모든 액체류도 의미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이때부터 증류주를 일컫는 명칭으로 와인의 알코올 이라는 표현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8세기 중반까지 이 단어는 알콜이라는 의미로 축약되었고 그때부터 와인, 보리 또는 사탕수수로 증류한 모든 스피릿을 알콜로 적용하였다.

이에 대한 파생어로 1890년대 알콜에중독된 사람을 뜻하는 알코홀릭(alcoholic)이라는 단어가 만들어지고 1950년대 초 에는 알키(alkie)라는 속어도 생겼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