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Anyone who has fondled her way through a boiled, buttered artichoke knows that this vegetable is made up of an edible, fleshy base called the heart and an inedible, hairy core called the choke. Infact, most people suppose that the so reverse is true: the word artichoke came first, entering English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and only eighteenth century, as the heart and choke. In other words, after noticing that the word artichoke sounded vaguely like heart and choke, people mistakenly concluded that heart and choke must be the correct and original names for those two parts of the vegetable. This conclusion probably seemed all the more reasonable because you would indeed choke if you tried to eat an artichoke's tough, fibrous core. More ingenious explanations for the vegetable's name were also proposed, but they were equally mistaken. Some past horticulturalistst, for instance, supposed that the artichoke took its name from hortus- the Latin word for garden- and choke because the plant was reputed to run wild and choke a garden. French etymologists, too, were once stymied by the French name for the vegetable, artichaut: they proposed that the chaut part came from chaud, meaning hot, or even from chou, meaning cabbage. The real origin of artichoke is much simpler than these false etymologies: the word comes from the Arabic al kharshuf, meaning the thistle, because an artichoke is actually the flower bud of a thistle picked before it blooms. This Arabic word was borrowed by Spanish as alcachofa, which was corrupted by Italian as articiocco, which was borrowed by French as artichaut, which was adopted by English as artichoke.
- Mark Morton의 Cupboard Love 중 -
삶은 버터 아티초크를 먹어본사람들이라면 'heart'라고 불리는 과육질의 부분은 먹을 수 있고 'choke'라고 부르는 털많은 심지부분은 먹을 수 없다는것을 알고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반대가 맞다고 생각한다. 아티초크(artichoke)라는 영단어는 16세기 초 들어오고 18세기에 하트(heart)와 초크(choke)라는 단어가 생겼다. 다시 말해, Artichoke를 발음하면 heart와 choke처럼 들리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 야채의 두 부분 이름이 맞다고 잘못 알고 결론 지었다.
하지만 이 결론은 사실일지도 모르는게 실제로 섬유질이 많은 심지 부분을 먹는다면 정말 질식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choke라는 표현이 적절할 수 있다. 더 많은 이 야채이름에 대한 기발한 설명들도 있었지만 마찬가지로 잘못되었다. 예를 들어 과거 몇몇 원예사들은 제멋대로 자라 정원을 질식시킨다고 하여 아티초크의 이름이 라틴어로 정원을 뜻하는 hortus와 choke를 합쳐 만들어졌다고 했다. 프랑스의 어원학자들 또한 이 야채이름의 어원을 알아내는데 애먹었다고 하는데, artichaut이라 부르기로 하고 chaut은 뜨거움을 뜻하는 chaud 또는 양배추를 뜻하는 chou에서 따왔다.
이런 어원들과 달리 실제 어원은 간단히 아랍어로 엉겅퀴(thistle)을 뜻하는 아랍어인 al kharshuf로부터 왔다. 사실 아티초크는 꽃피우기전에 딴 엉겅퀴의 꽃봉오리이기 때문이다.
이후 스페인어 alcachofa에서 변형되어 이탈리아어 articiocco 그리고 프랑스어 artichaut에서 결국 영어로 artichoke로 오게되었다.
'음식이야기 > 음식의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mati 바스마티 어원 (basmati) (0) | 2023.01.25 |
---|---|
'B'agle 베이글 어원 (bagel) (0) | 2023.01.24 |
'A'nchovy 앤초비, 멸치의 어원 (anchovy) (0) | 2023.01.17 |
'A'lcohol 알콜의 어원 (Alcohol) (0) | 2023.01.16 |
'A'balone 사람의 귀를 닮은 전복? (Abalone) (0) | 2023.01.16 |
- Total
- Today
- Yesterday
- ebl 프리패스
- EBL 프리패스 여행
- EBL 패스
- 세나 복주머니
- 롯데리아 진시리즈
- 하북대학교
- 반프레스토
- EBL여행
- 이비엘 여행 후기
- EBL 여행
- 리웬
- EBL 부산
- 중국판 나가수
- 아시가수
- EBL 여행기
- 진시리즈 피규어
- 장신철
- 황치열 중국
- 황치열
- 쉬자잉
- 중국 교환학생
- EBL 여행 후기
- 아시가수4
- 세나 이벤트
- 밀키트
- 리커친
- 세븐나이츠
- 이비엘 프리패스 여행후기
- 중국 나가수
- EBL 후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